본문 바로가기

리눅스/팁&테크

램디스크 활용하기 - 크롬, 크로미움 캐쉬(임시풀더) 설정하기


크롬과 크로미움의 캐쉬(임시폴더) 디렉토리를 램디스크로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램디스크의 경로를 /media/RamDisk로 가정]

1. 쉘 스크립트로 램디스크에 캐쉬 디렉토리 생성하기

새 문서를 하나 만들어서 아래의 내용을 입력후 파일명을 browser_cache로 저장(파일명은 원하시는대로 저장 하세요)

#!/bin/sh
/bin/mkdir /media/RamDisk/google-chrome
/bin/mkdir /media/RamDisk/chromium

입력 내용은 보시다시피 mkdir 명령어로 /media/RamDisk에 각각 google-chrome과 chromium의 디렉토리가 생성 되도록 입력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 생성된 쉘 스크립트에 실행 권한 주기 - 터미널 실행(Ctrl +Alt +T) 또는 노틸러스에서 작업

$ chmod +x browser_cache

터미널에서 chmod 명령어로 +x 옵션을 주고 파일을 지정해 주시면 되며 노틸러스에서는 파일의 속성창을 불러 오셔서 권한탭에 "파일을 프로그램으로 실행 허용"에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3. 시작 프로그램에 등록 하기

시작 프로그램을 실행 하셔서 추가를 눌러 새로 만든 browser_cache 파일을 지정해 등록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등록을 해놓으면 이후 우분투로 부팅을 할때마다 스크립트가 실행되어 램디스크에 google-chrome과 chromium 디렉토리가 자동으로 생성되게 됩니다.


4. 크롬과 크로미움의 실제 캐쉬 디렉토리를 삭제후 동일한 이름으로 램디스크에 각각 링크 만들기

크롬과 크로미움의 캐쉬 디렉토리는 홈폴더의 .cache 폴더 안에 각각 google-chrome과 chromium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원리는 실제 캐쉬 폴더를 삭제후에 같은 폴더명으로 각각 램디스크로 링크를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 cd ~/.cache

$ rm -rf google-chrome chromium

홈폴더의 .cache안에 있는 google-chrome과 chromium 폴더 삭제


sudo ln -s /media/RamDisk/google-chrome ~/.cache/google-chrome

sudo ln -s /media/RamDisk/google-chrome ~/.cache/chromium

삭제한 폴더(google-chrome, chromium)와 같은 이름으로 램디스크로 링크 생성


- 노틸러스에서 작업하기

1) 홈폴더의 .cache 폴더안의 google-chrome과 chromium 폴더 삭제

2) 램디스크로 이동하여 스크립트로 생성된 google-chrome과 chromium 폴더 선택후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메뉴에서 "링크 만들기" 클릭

3) 생성된 링크를 홈폴더의 .cahce폴더로 옮겨 삭제한 google-chrome과 chromium의 폴더명과 동일하게 이름 변경


이렇게 작업을 하시면 완료가 되며 파이어폭스의 경우에도 직접 램디스크의 최상위 경로로 지정하는 것보다는 스크립트에 디렉토리를 하나 더 추가하여 지정하시는게 좀더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메모리의 용량이 충분히 넉넉하시다면 토렌트 이용시 임시로 다운로드 되는 디렉토리도 하나 만들어 설정해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위의 방법 말고 /usr/share/applications/google-chrome.desktop과 /usr/share/applications/chromium-browser.desktop 파일을 편집하여 실행 옵션(--disk-cache-dir="램디스크 경로")을 주는 간단한 방법도 있습니다만 이경우 업데이트 때마다 새로 교체되는 파일이기 때문에 업데이트시 매번 편집하여 변경해 주어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니 처음에 손이 좀 더 가더라도 스크립트를 활용한 방법을 추천해 드립니다.